보도자료

조선비즈_엄익란교수 " 할랄인증에 너무 집착...시장성 평가가 먼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16.05.23   조회수 : 3153

[출처]조선비즈_원문바로가기

 

엄익란교수 " 할랄인증에 너무 집착...시장성 평가가 먼저"

 

“중동 시장 진출, 할랄 인증에 집착할 이유 없다. 이 상품이 시장성이 있는지부터 파악하는 게 순서다.”

 

2016052001435_0.jpg

엄익란 단국대 GCC연구소 교수 / 윤희훈 기자

 

 

엄익란(43) 단국대 GCC연구소 교수는 19일 “많은 기업들이 할랄을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보고 있다”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중동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할랄 인증’을 받는데 너무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엄익란 교수는 “마치 할랄 인증만 받으면 시장에서 다 팔릴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할랄 인증이 필요가 없는 제품군인데도 인증을 받는다. 유관기관에선 또 이걸 성과로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엄익란 교수는 중동 사회·문화 전문가로 꼽힌다. 특히 할랄 문화와 무슬림 소비자 연구를 오랫동안 해왔다. 저서로는 ‘이슬람 마케팅과 할랄 비즈니스’, ‘할랄, 신이 허락한 음식만 먹는다’, ‘금기, 무슬림 여성을 엿보다’ 등이 있다.

엄 교수는 “할랄 인증이 이슬람 국가들의 경제 주도권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나라와 지역별로 할랄 인증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 동남아에선 인증을 강조하는 반면, 중동에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나의 이슬람’이라고 하지만 지역별로 문화와 풍습이 다르기 때문에 인증 방식도 차이가 있다”며 “진출하려는 나라에서 통용하는 인증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의 할랄 시장 지원 정책에 대한 쓴소리도 했다. 엄 교수는 “올해 초 두바이에서 열린 ‘걸프 푸드’ 전시회에 다녀왔다. 전시회장에 한국관도 있었는데, 너무 초라하더라.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을 몇 개 갖다둔 게 전부였다”고 했다.

그는 “정부와 경제단체, 유관기관들은 자기 이름을 내건 행사에만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그 행사장에 어디 기업이 참여했고, 몇 명이 참관했는지 자기들의 실적만 강조한다. 그런데 쏟을 힘을 이런 대형 전시회에 보태는 게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 할랄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영국 엑스터 대학교에서 중동 연구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사회·문화를 전공했다. 무슬림들의 일상생활, 특히 먹는 데 관심이 많이 갔다.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이 확실하더라. 이를 시작으로 할랄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됐다. 종교 문화와 소비자 연구로까지 이어졌다.”

- 최근 중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할랄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할랄 인증’도 뜨거운 감자다.
“할랄은 연구하면서 무슬림을 분석해보니 분류가 나뉘더라. 어떤 무슬림에게 할랄 인증이나 개념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반해, 어떤 무슬림은 전혀 신경을 안쓰더라. 특히 중동 쪽은 할랄 인증에 집착하는 소비자가 거의 없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의 모든 정책은 할랄 인증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할랄 인증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인가?
“‘할랄 인증이 이슬람 소비시장의 답인가’라는 질문을 던져 보자. 안팔릴 물건이 할랄 인증만 받는다고 팔릴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을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기업들은 중동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할랄 인증을 받는데 너무 힘을 쏟고 있다.”

- 할랄 인증을 필수라고 생각하는 곳이 많은데?
“할랄 인증이 왜 생겼는지부터 이해를 해야 한다. 인증을 가장 먼저 실시한 곳은 말레이시아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식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할랄 인증’이라는 프레임을 만들었다. 만들고 보니 이게 돈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주변 이슬람 국가도 말레이시아를 보고 벤치마킹해 각각 인증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 할랄 인증은 이슬람 국가들의 경제 주도권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다.”

- 말레이시아에서 시작된 계기가 있나?
“말레이시아는 다민족 국가다. 이슬람이 60%, 중국인이 30%정도 된다. 중국사람들은 술, 돼지고기를 많이 먹는데, 이슬람에선 금지된 음식들이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무슬림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는 표시로 할랄 인증을 붙이게 했다. 문화적 차이가 경제적 규범이 됐다.”

- 중동에서 인증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이유가 있나?
“여기는 다 이슬람이다. 소비자들은 시장에서 판매되는 것은 ‘허용된 것’으로 본다. 사우디 사람에게 물어보니 ‘할랄이니까 통관이 됐을 것’이라고 하더라. 국내에서 중동으로 수출되는 제품들을 보면 특별한 인증 마크없이 한글로 ‘중동용’이라고만 표기해놨다. 국내 유통과정에서 혼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다.”

 

- 할랄 인증을 받는데 비용도 많이 드는데, 다르게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마치 할랄 인증만 받으면 시장에서 다 팔릴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보니 할랄 인증이 필요가 없는 제품군인데도 인증을 받는다. 저번에 보니 나주배가 할랄 인증을 받았다면서, 정부에서는 할랄 인증 덕택에 수출 성과를 냈다고 홍보하더라. 야채와 과일이 왜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하나.”

- 뭔가 잘못되긴 했다. 야채와 과일은 그 자체가 할랄인데.
“할랄 인증을 하나 받으려면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인증이라는 프레임만 보고 접근하는 건 오히려 형식에 대한 집착이 되기 십상이다. 일단 이 제품이 시장에서 팔릴지, 음식이라면 무슬림의 입맛에 맞는지를 따져야 하지 않겠냐. 국내에 수입되는 음식도 한국인 입맛에 맞아야 팔린다. 상품이 시장성이 있는지부터 파악하는 게 순서다. 할랄 인증에 목을 멜 필요가 없다.”

 

 

2016052001435_3.jpg

  지난 2월 UAE 두바이에서 열린 ‘걸프 푸드’ 전시회의 한국관 모습.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 몇 개를 선보인 게 전부였다./엄익란 교수 제공

 

- 국내 할랄 정책이 다른 곳으로 새고 있다는 느낌이다.
“할랄 연구를 오래 해왔는데, 최근 들어 회의감이 든다. 너무 편승해서 시장을 제대로 안보고 있다. 할랄과 관련한 가장 큰 이슈는 ‘인증 통합’이다. 그런데 지역마다 문화와 풍습이 달라서 인증도 차이가 있다. 통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 입장에선 어떤 인증이 진출하려는 시장에서 통용되는지 제대로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는 한국형 할랄 표준을 만드는 데 너무 몰입하고 있다. 누구를 위한 할랄 정책인가 고민해봐야 한다.”

- 정부 정책이 너무 성과주의식으로 흘러간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와 경제단체, 유관기관들은 자기 이름을 내건 행사에만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그 행사장에 어디 기업이 참여했고, 몇 명이 참관했는지 자기들의 실적만 강조한다. 올해 초 두바이에서 열린 ‘걸프 푸드’ 전시회에 다녀왔다. 전시회장에 한국관도 있었는데, 너무 초라하더라.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을 몇 개 갖다둔 게 전부였다. 이런 전시회에 힘을 보태는 게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

- 이슬람을 바라보는 국내의 두가지 시선도 문제다.
“한편에서는 할랄 반대, 다른 한편에서는 이슬람 관광객 환영을 말한다. 모순된다. 이슬람의 돈은 환영하면서 기저에는 반(反)이슬람 정서, 혐오 정서를 갖고 있다. 국내에선 무슬림에 대한 배려를 찾아보기 힘들다.”

 

윤희훈 기자

 

이전글 서울경제_[朴대통령 이란 방문] 1대1 비즈니스 상담회 성과 '역대 최대'
다음글 불교공뉴스_충북농기원, 농가맛집 대상 할랄음식 정보교류

리스트